
코인 전송속도 순위 가상화폐 입출금
안녕하세요. 해외거래소를 이용하다보면 빗썸이나 업비트에서 해외거래소 또는 같은 국내거래소로
코인을 이체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내 거래소의 경우 코인을 매도하고 다시 재매수를 하는 방법도 있지만
해당 방법은 수수료가 너무 많이 나가기 때문에 보통은 코인 자체를 이체를 많이 합니다.
심지어 해외 거래소는 거래소에서 직접 코인을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이체를 해야합니다.
여기서 비트코인의 경우 전송에 1시간 정도를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리플 같은 경우에는 5분이면 전송이 되는데요.
하지만 큰 금액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어 불안할 수 밖에 없고
전송을 기다리다 자신이 원하는 매수 매도 타이밍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속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인 전송 속도 순위를 알아보고 어떤 코인이 수수료가 저렴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코인 전송 속도 목차
- 코인 전송 속도 비교
- 입출금 코인 선택
1. 코인 전송 속도 비교
위의 표는 statista라는 코인 사이트에서 코인 전송속도 및 코인 전송시간을 확인을 할 수 있는데
2022년 9월 기준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암호화폐 평균 거래 속도를 비교해서 정리 한 것입니다.
단위는 분 단위이며 분 단위인 만큼 숫자가 높을 수록 느리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Near-instant의 뜻은 거의 실시간에 가깝다는 뜻으로 바로 전송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바로 전송되는 코인으로는 리플 / 솔라나 / 코스모스 / 스텔라 루멘 / 인터넷 컴퓨터가 있습니다.
그 외에 5분 안에 전송되는 코인으로는 아르고 / 트론 / 플로우 / 테더 USD 등등이 있고
비트코인 / 도지코인의 경우 40분으로 상당히 오래 걸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입출금 코인 선택
이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입출금 코인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전송 속도도 물론 중요하긴 하지만 입출금 수수료와 해당 코인의 거래량도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코인을 기껏 전송을 해도 해당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없으면
거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의미가 없고 수수료도 몇 몇 코인들의 경우
상당한 가격이기 때문에 신경을 안쓰시면 안됩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입출금 코인은 이오스, 트론, 리플을 많이 이용하는데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고 코인 전송 수수료도 저렴합니다. 따라서 거래소 간 입출금 코인으로 많이 이용합니다.
하지만 고액의 경우에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꼭 위의 3가지 코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맞춰서 입출금 코인을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