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낸스 쉽게 선물거래하는 방법 : 수수료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이낸스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선물거래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아주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시작하기에 앞서 거래 수수료를 할인 받는 방법이 있는데요.
제가 준비한 링크로 가입을 하시는 분들은 거래 수수료 20%를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거래소 수수료 할인으로 접속하셔서 회원가입하시면 됩니다.
만약 회원가입 방법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바이낸스 레퍼럴 할인 회원가입 방법글을 참고해주세요.
바이낸스 쉽게 선물거래 하는법
- 바이낸스 선물거래 들어가기
- 현물지갑에서 선물지갑으로 옮기기
- 선물거래 주문 방식 설정
- 격리와 교차 설정
- 레버리지 설정
- 시장가와 지정가 설정
- 선물거래 주문 방식 설정
- 포지션이 보이지 않을 경우
- 포지션 보는법
바이낸스 선물거래를 위한 준비물
선물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스테이블 코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먼저 현물거래에 가셔서 가지고 계신 코인을 판매하여 usdt를 준비해주세요.
선물거래 하는데 해당 스테이블 코인이 편하고 필요합니다.
1. 바이낸스 선물거래 들어가기

먼저 Derivatives에서 USDS-M Futures로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이 바이낸스 선물거래 창으로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거래에 시작하기 전에 선물거래에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현물지갑과 선물지갑이 따로 존재하는데요.
따라서 현물지갑에 있는 코인을 선물지갑으로 옮기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비트코인이 아닌 다른 코인을 거래하고 싶으신 분들은
왼쪽 상단 BTCUSDT를 눌러주시면 다른 코인으로 거래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선물퀴즈가 나오시는 분들은 바이낸스 선물퀴즈 및 마진퀴즈 정답을 참고해주세요.
2. 현물지갑에서 선물지갑으로 옮기기
거래 화면에서 스크롤을 내려주시면 오른쪽 하단에 Transfer가 있습니다. 눌러주세요.
그러면 새 창이 나오는데 Fiat and Spot(현물)에서 USDS-M Futures(선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시고 바로 밑에 옮기실 코인을 코인으로 Usdt를 선택해주세요.
usdt가 없는 분들은 현물거래에서 구매해주세요.
그리고 코인 수량을 설정하시고 Confirm(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제 선물거래 주문 방식에 대한 옵션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3. 선물거래 주문 방식 설정

바이낸스 선물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옵션을 만져야 할게 좀 있습니다.
제가 이미지에 적어 놓은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되며 차례대로 알려드릴게요.
또한 제가 설명을 드릴 때 위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1번 2번으로 작성하겠습니다.
오해하지 말고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먼저 1번을 선택하고 교차와 격리 옵션입니다.
1. 격리와 교차 설정
1번을 선택해주시면 격리와 교차를 선택 창이 나오는데요.
선택을 돕기 위해서 설명을 해드리면 교차의 경우에는 쉽게 말해
선물지갑 전체가 증거금이 되는 방식이고
격리는 본인이 직접 투자하는 만큼 증거금이 됩니다.
따라서 격리는 청산을 당하게 된다면 선물지갑에 금액은 그대로 있지만
교차의 경우 청산가에 도달하게 되면 청산이 되지 않고 선물지갑에서
코인을 증거금으로 사용하여 청산을 방지해줍니다.
하지만 지갑의 남은 잔고로도 청산을 막을 수 없다면 지갑의 금액까지 전부 청산 당하게 됩니다.
원하는 걸 선택하시고 Confirm(확인)을 눌러주세요.
2. 레버리지 설정
2번을 클릭해서 들어와주시면 위의 이미지처럼 새창이 나옵니다.
그리고 레버리지를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여기는 신중하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레버리지가 앞으로 수수료 부문에서 계속 영향을 미치고
레버리지가 높은 만큼 수익이 올라가지만 반대로 리스크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레버리지는 코인마다 최대 레버리지가 다르며 비트코인의 경우 125배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레버리지가 수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레버리지 = 10x 과 증거금 = 100만원을 사용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만약 10%의 수익이 나온다면 100만원의 수익 10% 10만원에서 레버리지 효과로 100만원의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10%가 나온다면 바로 청산 당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배율로 갈 수록 청산 범위가 좁아지게 됩니다.
3. 시장가와 지정가 설정

마지막으로 거래에 진입하기 전 시장가와 지정가입니다.
Limit = 지정가 / Market = 시장가인데요.
이 둘의 차이점은 거래에 진입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지만
먼저 수수료의 차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시장가 | 지정가 |
0.04% | 0.02% |
표를 보면 아시다시피 시장가가 지정가의 비해 0.02% 비싼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의 진입의 차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먼저 지정가는 현물에서 하신 것처럼 가격을 지정하고 거래에 진입을 하게 되는데
금액이 움직이다보니 거래에 진입하기 귀찮고 차트가 급격히 변화한다면
지정가 진입이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시장가는 수수료 금액이 비싼 만큼 수량만 설정해서 거래에 진입하실 수 있으며
차트가 급격히 변화하여도 진입에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
원하는 걸 선택하시고 이제 거래에 진입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4. 선물거래 주문 방식 설정

시장가의 경우 수량만 설정하시고 거래에 진입이 가능하고
지정가의 경우 4번 칸에 먼저 원하는 금액을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금액 설정이 어려우시면 왼쪽에 Order Book에 나오는 금액을 눌러주시거나
4번 칸에 Last(코인의 마지막 금액)을 눌러주시면 쉽게 코인 금액을 지정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5번 칸에서 구매하실 코인의 수량을 설정해주시고
손익절 설정을 원하시는 분들은 6번에 네모 칸을 체크해주시고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Take Profit이 익절 Stop Loss가 손절입니다.
그리고 7번에서 롱(코인의 금액이 오른다)과 숏(코인의 금액이 떨어진다) 중에 하나를
선택하셔서 눌러주시면 거래에 진입이 완료됩니다.
5. 포지션이 보이지 않을 경우
포지션이 보이지 않는 분들은 왼쪽 하단에 Open Orders를 보면 되는데
보통 지정가를 사용하셨는데 해당 금액에 포지션이 잡히지 않는 것인데요.
해결 방법은 두 가지로 지정하신 금액에 포지션이 잡힐 때까지 기다리거나
오른쪽에 휴지통을 눌러주셔서 거래를 취소 한 후
다시 거래를 지정가로 금액을 설정하거나 또는 시장가로 진입하셔야 합니다.
6. 포지션 보는법
먼저 왼쪽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에 적어 놓은 그대로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Symbol 현재 거래 중인 코인과 레버리지
Size는 레버리지를 포함한 증거금 Entry Price는 진입한 금액 Mark Price는 진입 당시 시장가
Liq Price는 청산가로 코인이 해당 금액에 도달한다면 청산이 됩니다.
이제 Margin Ratio로 마진 비율 즉 증거금 비율인데
해당 퍼센트가 100%에 가까워질수록 청산의 위험이 있으며
꼭 100%에 청산 되는 것은 아니기에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레버리지에 따라 80%~90%에 청산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Margin은 진입한 증거금에 격리와 교차를 알려주며 옆에
이모티콘을 눌러주시면 증거금을 추가로 넣어주실 수 있는데
증거금을 넣는다해서 수익이 증가하지는 않지만
추가로 증거금을 넣은 만큼 청산을 막을 수는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PNL / ROE는 수익금과 수익률입니다.
이제 거래를 종료하고 싶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1번째 방법은 Close All Positions로 모든 거래를 종료하는 방법
2번째 방법은 종료 수량 설정 후 Market을 눌러서 시장가로 종료하는 방법
3번째 방법은 종료 수량 및 지정가를 지정하고 Limit을 눌러 지정가로 종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거래에 진입하기 전 손익절 설정을 못하셔서
포지션을 잡고 손익절 설정을 원하시는 분들은 종료 수량 오른쪽 이모티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모두들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